삶은 스트레스의 연속이라고 흔히들 이야기합니다.
그렇다면 나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해결하고 있나요?
행복하기 위해 산다고 하지만
나 자신에게 "나 지금 행복하니?" 라고 물으면
나의 대답은 yes 인가요? no 인가요?
하버드에서 연구한 행복한 사람들의 비밀이 있다고 하는데요
첫 번째 : 자신보다 더 큰 의미를 추구한다.
이기적인 사람보다는 타인을 위해 봉사하고, 기부하고, 타인을 배려하며
나보다는 내가 속한 공동체에 협력하고, 기여하는 삶을 살아갑니다.
두 번째: 일과 개인 생활의 조화를 이룬다.
일에 몰입하며 워커 홀릭이 되는 삶은 은퇴했을 때 결국 남는 게 없어 고독해진다고 해요
가족과 일을 같이 중요하게 여기며 조화를 이뤄가는 삶을 살때 행복해집니다.
지금 내 옆의 가족과 함께 했던 행복한 순간들을 떠올려보고,
가족과 행복한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세번째: 한. 두 명의 멘토가 있다.
어른이 되어도 어른이 필요하다는 말을 본 적이 있는데요
너무나 공감가는 말이었어요.
삶의 지표가 되고, 방향을 제시해 주는 멘토가 필요합니다.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델이 있다면, 그러한 사람이 멘토가 된다면
나의 삶은 조금 더 행복해지겠죠.
멘토가 때로는 책이 되기도 하고, 나보다 더 큰 어른, 스승이라고 부를 만한 사람이 있다면
삶을 살아가는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그 순간은 시야가 매우 좁아지게 됩니다.
그때 상황의 생각과 좋지 않은 감정속에 쌓여 그 속에 자신을 가두게 되죠.
마치 고집센 어린아이가 되어 생각과 감정의 노예가 되는 상황이 됩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싶을 때 위의 행복의 3가지 조건을 떠올려보세요.
나는 지금 행복한 사람이 되기를 원하고 있는지?
스트레스에 예민하고 힘들어한다면 본래의 나로 빠르게 돌아오는 회복 탄력,
유연성을 선택해야 합니다.
감정이 좋지 않을때 그 환경을 잠시 벗어나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운동을 한다든지, 빠르게 걷기를 하거나, 때론 나의 동네를 잠시 벗어나
모르는 곳에서 휴식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지금 나에게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내가 원하는 행복은 무엇인지,
나를 바라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내가 원하는 건강을 건강을 위해
내가 원하는 행복을 위해
내가 원하는 평화로움을 위해
나는 지금 무엇을 선택하는 것이 맞을까?
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면서
조금 더 큰 삶의 의미를 선택해 보는 건 어떨까요?
나의 존재가 가족에게, 주변 사람들에게
건강과 행복, 선한 사랑을 주는 가치가 된다면
그리고 그것을 위해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질문하며
나의 멘토를 만나보세요.
멘토가 내 가족이 되기도 하고, 책이 되기도 하고, 삶의 가치를
일깨워주는 스승이 되기도 합니다.
스트레스는 내안에서의 부딪힘을 일으킵니다.
그 부딪힘이 자극이 되어 나를 바라보게 하는 동기부여가 되죠
그렇게 나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짐에 감사하며
오늘도 스스로 스트레스로부터 회복을 잘하는
나로 성장해보자구요~
단월드는 당신의 건강과 행복을 응원합니다.
'뇌교육으로 반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증은 이제 끝, 숙면을 위한 꿀팁 <단월드 기체조> (0) | 2025.06.25 |
---|---|
스트레스와 잘 지내면 마음의 근육 생겨 <단월드> (2) | 2025.06.23 |
자존감을 높이는 길은 나를 관리하는 것 <단월드 기체조> (3) | 2025.06.12 |
나를 성장시키는 불편한 부딪힘 - 스트레스 <단월드> (0) | 2025.06.04 |
거울 속의 나와 대화하며 자존감 높이기 <단월드 건강> (0) | 2025.05.27 |